반응형 분류 전체보기997 .Net - naver, daum, google,kakao SMTP 메일 설정 및 보내기 Implicit SSL 포함 메일은 사용자에게 알람부터, 사용자에게 정보 전달까지 다양하게 사용할 수 있는 의사 전달 도구로써, 프로그램으로 메일을 보내는 기능을 일반적인 메일 제공 업체인 Naver, Daum, Google을 통해 어떻게 가능한 지 알아보도록 하자. 각 메일 제공 업체별로 메일을 전달하기 전에 구성해야 하는 옵션이 있는데 구글부터 알아보겠다. 업체 주소 Port 특이사항 다음 smtp.daum.net 465 IMAP/POP 활성화 카카오 smtp.kakao.com 465 IMAP/POP 활성화 네이버 smtp.naver.com 587 IMAP/POP 활성화 구글 smtp.gmail.com 587 2차인증 해제, 낮은 수준 앱 구글 - 보안 수준이 낮은 앱의 액세스 활성화 구글은 2차인증과 보안 수준이 낮은 앱(메일.. 2022. 3. 25. 티스토리 - 카테고리 사전 설정 티스토리를 통해 글쓰기 완료후, 글을 올릴때 마다 카테고리를 선택하는것도 매번 해야 하다가 우연히 찾은 사전 설정이 있어 공유한다. 티스토리 설정에 들어가, 카테고리 관리를 누르고, 변경하고자 하는 카테고리에 마우스를 올리면 수정을 통해서 카테고리를 사전에 설정할 수 있다. 이렇게 설정을 해두면, 글 완료시 사전에 설정한 카테고리가 이미 설정이 되어 있어 번거로운 작업을 최소화 할 수 있다. 2022. 3. 24. Ubuntu - apt install force 무인 설치, 자동 제거 Ubuntu에서 apt 명령은 패키지를 설치하는 아주 유용한 옵션이다. 오늘 Dockerfile 및 Ansible등 자동화를 위해 많이 사용하는 slient mode, 혹인 무인 설치 모드를위해 필요한 옵션인 -y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다. 무인 설치 무인 설치 옵션은 -y를 통해서 가능하다. $ sudo apt -y install 만약 아래 그림과 같이 python3.10 버전을 무인 설치모드로 진행하면 별도의 설치 문의를 하지 않고 바로 설치를 진행한다. 이러한 설치 옵션은 제거에서도 동일하게 사용할 수 있다. 무인 제거 $sudo apt auto-remove -y auto-remove는 install과 마찬가지로 자동으로 패키지와 함께 구성요소를 제거해준다. 여기에도 -y를 이용해서 무인 설치 옵.. 2022. 3. 24. 저사양 명작 3DS - 파이어 엠블렘 IF Citra를 이용해서 플레이가 가능한 파이어 엠블렘 IF 백야국과 흑야국 두가지 스토리를 즐길 수 있고, 궁극적으로 전혀 새로운 스토리가 DLC로 나왔던 버전이다. 필자가 생각하는 가장 큰 재미는 2인 협공 전투 시스템과 인연 시스템이라 할 수 있다. 인연 시스템은 캐릭터간 친밀도에 따라 지원력이 상승하며, 둘이 결혼을 하면 동료로 자식??을 얻을 수 있는 새로운 시스템이다. 저사양 명작 3DS - 파이어 엠블렘 IF - YouTube 2022. 3. 23. 보안의 어려움 보안 요소들을 실제 코드와 어플리케이션에 반영하는 것은 쉬운일이 아니다. 아래 그림은 현재 마지막으로 조사된 DevSecOps에게 2018년도 조사한 내용으로 DevSecOps가 있는 조직과 없는 조직의 어플리케이션 보안성 검사에 대해 비교해 놓은 부분이다. 한눈으로 보아도 각 단계별로 DevSecOps가 없는 조직과 있는 조직의 보안 수준에 대해 상당한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유를 알기 위해서는 일반적인 보안 검사 방법에 대해서 이해해볼 필요가 있다. 아래 그림은 일반적인 보안 검사에 걸리는 시간이다. 위 상황을 보면, 개발 코드를 받아서 보안팀에서 소비해야 하는 부분들중 코드 검사도 크지만, 보고서 작성과 예외 협의등에서 상당한 시간이 필요하게 된다. 하지만 현재 개발 속도는 점점 빨라지고 있.. 2022. 3. 23. 시스템 프로세스(Windows Startup Process) - 자동 실행 - Userinit.exe Userinit Logon Application 약자로, 이름에도 알 수 있듯이 유저 세션의 환경을 초기화 해주는 프로세스이다. 사용자 인증을 거쳐 로그인에 성공하면 Logon script를 실행하고, 사용자 환경에 GPO(그룹 보안정책) 적용과 같은 사용자 환경의 위한 초기화 작업를 수행한 이후 마지막으로 우리에게 익숙한 Explorer.exe를 실행하고서 본 프로세스는 스스로 종료된다. 관련 정보는 레지스트리는 HKLM\SOFTWARE\Microsft\Windows NT\CurrentVersion\Winlogon 의 하위 Userinit 값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그럼 Logon script는 어디서 실행하는 것일까? HKCU\Software\Policies\Microsoft\Windows\Syst.. 2022. 3. 23. 윈도우 - 서비스 계정 실무를 시작하면서 가장 많이 헷갈려 하는 부분이 바로 서비스들이 사용하는 계정이였다. 대부분의 사용자들이 서비스 계정 부분을 잘 이해하지 못하고 그저 서비스 문제가 생길 수 있겠다 생각하며 관리자 권한을 주거나 로컬 시스템 계정을 주게 된다. 하지만 이는 보안적으로 봤을 때, 해당 서비스에 과도한 권한을 주어, 해당 서비스로 인해 서버가 노출되거나 백도어가 심어지는 등의 공격을 당할 수 있는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그럼 서비스에서 사용하는 계정들이 무엇이 있고, 어떠한 권한들이 있는지 알아보도록 하자. 일반적으로 서비스에 계정을 등록하지 않는다면, 대부분의 서비스는 로컬 시스템 계정(SYSTEM 혹은 LocalSystem으로 표시)으로 실행되게 된다. 그 외에는 네트워크 서비스(Network Servi.. 2022. 3. 23. ASCII Table - 아스키 코드 컴퓨터는 0과 1 숫자 밖에 모르기 때문에 문자도 숫자로 기억한다. 숫자로 기억을 하고 있다가, 인코딩 방식에 따라서 표현되는 문자가 달라지는 방식이다.. 그리고 아스키 코드는(ASCII Table)은 0번부터 127번까지 사용이 되는데, 그중 32부터 127까지 표현에 사용되는 문자이고 그 앞에 0부터 31까지 제어용도로 사용되기 때문에 여기서는 주로 사용되는 32부터 127까지 표현 내용을 가져와 봤다. DEC OCT HEX BIN Symbol HTML Number HTML Name Description 32 040 20 00100000 Space 33 041 21 00100001 ! ! Exclamation mark 34 042 22 00100010 " " " Double quotes (or spe.. 2022. 3. 21. 보안 스터디 모임 오랫만에 보안 스터디 모임 다들 열심히 고고씽~ 2022. 3. 19. 이전 1 ··· 89 90 91 92 93 94 95 ··· 111 다음 반응형